구세군서울지방본영 2020. 2. 28. 21:57

□ 영문명 : 강북영문

□ 개척연도 : 1973년 10월 24일

□ 영문 개요

1. 주변 지역 상황

본 교회가 위치하고 있는 강북구 삼양동 지역은 저소득 조손세대, 한부모가정세대, 홀몸노인이 집중거주하고 있는 각종 사회문제에 취약한 지역이다. 삼양동 지역은 인구학적, 지리적 환경이 취약함에 따라 높은 성범죄 위험도와 자살률 등 각종 사회문제가 혼재되어 있으며 해당 현안이 수년간 지속됨에 따라 지역의 고질적인 문제로 자리 잡았다. 이에 정부 및 지자체 차원의 하향식 정책 및 서비스 제공을 넘어 지역주민차원의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환경 및 여건 속에서 주어진 영문의 역사

일 자

영문의 역사

1973. 10. 24

영문(도봉영문) 개영

1973. 10. 24

1대 담임사관 정위 김원석사관 동부인

1978. 06. 14

2대 담임사관 정위 김찬제사관 동부인

1980. 06. 13

3대 담임사관 정위 김영수사관 동부인

1983. 06. 11

4대 담임사관 정위 김종구사관 동부인

1987. 06. 18

5대 담임사관 정위 김형길사관 동부인

1990. 12. 20

복합선교를 위한 영문 병설 복지관 건립

1991. 07. 02

6대 담임사관 정위 유운영사관 동부인

1992. 10. 12

동양부장 죤 크린치 방문

1993. 02. 25

7대 담임사관 정위 김태열사관 동부인

1993. 03. 29

영문병설 어린이집 개원

1995. 05. 01

도봉구가 강북구로 분구되면서 기관명칭변경(강북영문으로 개칭)

1995. 11. 30

대장특사 톰슨부장 방문

1997. 02. 27

8대 담임사관 참령 박희범, 허미숙사관

1999. 02. 26

참모총장 영문 방문

2001. 12. 05

구세군길 지정(구세군1길-5길)

2007. 02. 27

9대 담임사관 참령 정성채, 박영선사관

2010. 10. 08

병설 삼양동종합복지센터 위탁 개설

2013. 03. 02

10대 담임사관 참령 이민호, 장미현사관

2013. 10. 20

개영 40주년 기념 감사예배(인도: 사령관 부장 박종덕, 윤은숙)

2017. 02. 23

11대 담임사관 참령 이운승, 변진옥사관

환경과 여건 속에서의 영문(복지관, 어린이집)

- 본 영문과 속해 있는 복지관, 어린이집이 위치한 지역은 고도개발제한구역으로 타 지역보다 매우 낙후되어 있고, 좁은 골목길과 다세대 가구 밀집지역이다. 취약한 지리적, 인구학적 환경으로 안전증진을 위한 개선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영문과 복지관, 어린이집이 지역사회의 영혼구원과 사회복지의 중심 기관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3. 영문의 특징

- 복합선교지(영문, 복지관, 어린이집)이다.

- 예배 참석 인원 대비 찬양대원의 수가 많다.

- 전체 군우 숫자에서 20~30대의 비율이 높다.

 

□ 개척 동기 및 변천과정

 

1. 영문을 시작하게 된 배경 및 설립동기

돈암영문에 출석하던 손희택 원로정교와 돈암영문 담임사관이던 김찬제 사관이 강북구 삼양동에 위치한 영문개척에 대한 논의를 했다. 손희택 원로정교는 ‘개척하기에는 돈이 없다’고 했는데, 김찬제 사관은 ‘하나님이 하신다’고 권면하여 지방장관에게 보고한 뒤 본영의 승인을 받아 개척했다. 계약금은 손희택 원로정교의 헌금으로 하고 영문은 본영의 지원을 받아 건축하였다.

현재 개척멤버로 손희택 원로정교, 김선옥 심방부교, 박영희 원로단장이 출석하고 있다. 영문 개영 이후 심재용 원로단장, 김무평 은퇴정교, 백현숙 은퇴단장이 전도되어 영문에 출석하게 됐다.

 

2. 개척부터 현재까지 변천과정

1) 영문 개영

- 1973. 10. 24. 도봉영문으로 개영(현 위치)하였다.

2) 구세군도봉종합사회복지관 설립

- 1990. 12. 20. 복합선교를 위한 영문 병설로 복지관을 건립하였다.

3) 구세군어린이집 개원

- 1993. 03. 29. 영문 병설 어린이집을 개원하였다.

4) 기관명칭변경(도봉구에서 강북구로 분구)

- 1995. 03. 01. 구세군도봉종합사회복지관에서 구세군강북종합사회복지관으로 변경하였다.

- 1995. 05. 01. 구세군도봉영문에서 구세군강북영문으로 변경하였다.

5) 삼양동종합복지센터 수탁

- 2010. 06. 수탁

- 2010. 10. 08. 개영

- 2011. 07. 01. 삼양동종합복지센터 분리 운영

 

□ 영문의 외부현황

 

1. 지역사회 분석

1) 인구분포

전체인구

65세 인구

소계

329,042

56,078

번1동

20,043

3,222

번2동

18,023

3,534

번3동

19,523

4,246

수유1동

22,552

3,876

수유2동

22,496

4,074

수유3동

24,266

3,994

삼양동

29,263

4,815

미아동

23,482

3,821

송중동

30,333

5,134

송천동

30,087

5,394

삼각산동

33,908

3,778

우이동

21,956

4,148

인수동

33,110

6,042

강북구의 총 인구수는 329,042명에서 이중 본 영문과 복지관의 관할 지역인 6개동(삼양동, 미아동, 송중동, 송천동, 삼각산동)과 관리동 수유1동이 비관활동과 비교해 높은 인구수를 차지하고 있다.

2) 주민 소득수준

영문주변은 거주지(다세대주택) 밀집지역이다. 강북구청의 전체적인 예산이 타 구청보다 높지 않음과 일반사람들과 기초수급대상자들, 독거어르신들이 섞여 거주함을 볼 때 일반사람들의 소득수준으로 이해할 수 있다.

3) 종교시설 분포

[강북구 종교시설 분포]

구분

교회

성당

사찰

292

5

52

[삼양동 종교시설 분포]

구분

교회

성당

사찰

34

0

6

4) 교회 분포

구분

강북구

삼양동

미아동

292

34

13

5) 지역 특성

- 거주지(다세대주택) 밀집지역

6) 지역 발전 추이

- 지역 재개발 가능성

 

2. 영문과 지역사회의 관계

1) 영문에 대한 지역사회의 의식수준

교회를

모른다.

1

2

3

4

5

6

7

8

9

10

교회를

안다.

① 8점인 이유

: 복지관에 대한 인지도(10점)는 높지만, 영문에 대한 인지도는 그리 높은 편은 아니다. 그 이유는 복지관의 활발한 직접적인 서비스로 인한 홍보와 활동이 교회의 기능을 알리는 역할을 가리는 경우가 있다. 5~6일의 복지관 운영으로 인해 영문으로 인식하기보다는 복지관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영문과 복지관, 어린이집이 공동 건물로 사용하는 특수상황이다 보니(정한 예배시간 외) 평일에 군우들이 예배당을 이용할 수가 없다. 새신자와의 상담 장소의 제약 등,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의 부재로 인해 지역사회의 의식수준을 높게 얻기는 쉽지 않다.

② 가능성

: 복지관 이용자들이 2층 강당을 이용하면서 교회에 대한 이미지를 인지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예배당을 강당으로 이용함과 로비에 있는 영문 홍보용 포스터 및 공보를 통해서 영문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된다. 복지관을 통해서 영문이 있음을 알게 되고, 대화나 상담을 통해 영문의 활동 및 전도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실제로 복지관을 이용하는 어르신들과 자원봉사로 활동하던 청년이 영문에 출석하고 있다.

2) 영문과 지역사회의 유대관계

-

1

2

3

4

5

6

7

8

9

10

+

① 9점인 이유

: 영문은 복지관, 어린이집의 활동으로 지역사회와 유대관계를 맺고 있다.

② 가능성

: 강북구와 지역사회를 위한 활발한 복지관의 서비스로 인해 인지도가 높다. 영문과 복지관, 어린이집의 유대관계가 영문과 지역사회의 유대관계로 확산되고 있다.

3) 영문과 지역사회 기관들과의 관계

-

1

2

3

4

5

6

7

8

9

10

+

 

① 9점인 이유

: 영문은 복지관의 활발한 활동으로 연계된 기관들과 관계를 지속하고 있다.

② 가능성

: 유관기관과의 관계에서 영문 담임사관의 선교활동과 복지관 관장으로서의 지속적인 활동으로 기관간의 활발한 관계가 이어지고 있다.

 

□ 영문진단

 

1. 영문 성장의 지지 요인

1) 기존 군우의 높은 예배 출석률

2) 군우들의 자발적인 참여 및 활동

3) 각 부서 연합된 협력(행사지원 및 후원)

4) 복지관의 행복플러스 매장을 통한 영문 홍보

 

3. 영문 성장 추이 및 성장 잠재력 진단(SWOT)

1) 강점(Strong)

➀ 복지관으로 인한 인지도 상승효과

➁ 군우들의 봉사정신

➂ 군우들 간의 정서적 유대감

➃ 복지사들과 교사들의 교회 출석 및 봉사

⑤ 선교하는 영문(예: 광음영문. 캄보디아 선교)

 

3) 기회요인(Opportunities)

➀ 복지관 이용자의 영문 유입

➁ 영문과 복지관의 연합 활동(예: 바자회, 경로잔치 등)

➂ 군우들의 복지관 이용으로 인한 전도

➃ 영문, 복지관, 어린이집을 통한 지역사회와의 협력

 

 

□ 영문의 비전

 

1. 정성적 비전

1) 목적1 - 하나님의 기쁨이 되는 영문

목표1.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영문과 군우로 변화해 하나님의 기쁨이 된다.

목표2. 예수그리스도를 닮아가는 군우로 성장해 하나님의 기쁨이 된다.

2) 목적2 – 성령 충만한 영문

목표1. 예배드리기에 힘씀으로 믿음이 성장한다.

목표2. 매일 기도와 말씀으로 성령 충만한 생활을 한다.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장기계획

 

1. 3 ~ 5년 후 비전

1) 예배 출석인원 – 120명

2) 각부서 지도자(하사관) 세우기

3) 청년병사 입대에 중점

4) 청년회와 찬양대의 분리된 활동

5) 찬양사역팀 구성

 

2. 10년 후 비전

1) 예배 출석인원 – 180명

2) 청소년, 청년부서 배가운동

3) 전도사역팀 구성으로 선교하는 영문

4) 악대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