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평신도 교육자료

예수 그리스도

구세군서울지방본영 2020. 5. 22. 14:41

◉ 도입

우리는 예수님을 믿는다고 고백합니다. 이렇게 예수님을 믿으며 살아가는 것을 다른 말로 신앙생활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궁극적으로 모든 기독교인들의 삶의 목적은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삶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앞선 1, 2과에서 공부한 하나님에 대한 내용을 신론이라고 한다면, 3,4과에서 공부하게 될 예수님에 대한 내용은 기독론이라고 합니다. 신학자 오스카 쿨만은 기독론은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다고 했습니다. 이번 과에서는 우리가 믿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게 됩니다.

 

질문

1. 영문에 출석하기 전에 예수님에 대해 들었을 때 어떤 생각이 들었나요?

2. 예수님을 믿게 된 동기를 잠시 나눠보겠습니다.

3. 나에게 있어서 예수님은 누구신가요?

 

◉ 전개

예수님의 명칭

우리가 믿는 예수님은 한 마디로 ‘이런 분이시다’고 정의할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예수님은 하나님이시면서 인간이 되셨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예수님에 대한 명칭을 알아보겠습니다. 예수님에 대한 명칭은 대체로 5가지가 있습니다.

1) 예수(Jesus)

‘예수’란 이름은 히브리어 발음으로 여호수아 또는 예수아의 헬라어(그리스어) 형태로 ‘구원 할 자’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마태복음 1:21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그리스도(Christ)

구약성경에서 ‘메시야’라는 말을 헬라어로 번역하면 ‘그리스도’가 되는데, 그 뜻은 ‘기름 부음을 받은 자’입니다.

구약성경을 보면 머리에 기름을 부어서 임명을 하는 직책이 세 가지가 있었습니다. 첫째는 왕, 둘째는 선지자, 셋째는 제사장이 그 대상이었습니다.

사무엘상 10:1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열왕기상 19:16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출애굽기 29:7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당시에는 기름을 부어서 직책을 맡기는 것은 기름이 귀해서이기도 하지만 쉽게 없어지지 않는 성질 때문이었습니다. 이렇게 기름을 붓는 행위는 성령을 상징하는 의미로서 기름부음 받는 그 직책의 고귀함과 그리고 그 귀한 직책을 감당하도록 구별되었다는 것, 그 직책에 자격을 부여한다는 등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왕, 제사장, 선지자의 세 가지 직분 모두를 감당하기 위해서 구별된 분이라는 상징성도 있습니다.

3) 인자(Son of Man)

예수님을 ‘인자’ 라고 호칭하는 것은 다니엘 7:13절에 근거한 것으로, 예수님이 자신을 지칭할 때 사용하던 명칭입니다. 인자라는 명칭에는 예수님이 고난의 종으로서 이 땅에 오신 목적이 당신의 생명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기 위한 것이 그의 사명임을 알려주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인자란 명칭은 예수님의 인간성의 표시이지만, 그 역사적 기원을 보면 예수님의 초인간적 특성을 말해 주며, 또한 그리스도께서 위엄과 영광으로 하늘의 구름을 타고 장차 오실 것을 암시해 주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 명칭은 다른 사람들에게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다니엘 7:13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마태복음 16:27, 28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누가복음 21:27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하나님의 아들(Son of God)

그리스도는 몇 가지 이유가 있어서 ‘하나님의 아들’ 이라고 부릅니다. 그 이유는

첫째, 성삼위 하나님 중에서 제 2위이신 하나님이시기 때문입니다.

마태복음 11:27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둘째, 기름부음 받은 메시야(그리스도)이시기 때문입니다.

누가복음 2:11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사도행전 5:31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셋째, 예수님의 탄생이 성령의 초자연적 역사에 의해서이기 때문입니다.

누가복음 1:35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주님(the Lord)

우리가 예수님을 일상적으로 부를 때 주님이라고 합니다. 예수님 당시의 사람들은 우리가 일상에서 타인을 부를 때 선생님이란 말을 일반적인 존칭어로 사용하듯이 이 명칭을 예수님에게 사용했습니다.

마태복음 8:6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마가복음 7:28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예수님의 부활사건 이후부터는 주님의 명칭이 특별하게 깊은 의미를 갖게 됩니다. 부활 사건 이후‘주님’이란 명칭은 예수님이 교회의 머리가 되시고, 주인이실 뿐만 아니라, 우주의 주인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우리가 예수님을 주님이라고 고백한다면 그분에게 모든 것을 헌신하며 순종할 것을 다짐하는 신앙의 고백이 되는 것입니다.

사도행전 2:36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로마서 1:25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예수님의 본성

예수님의 본성에 대해서는 예수님을 믿지 않은 사람들뿐만 아니라 이단들로 인하여 많은 논란이 되어 왔습니다. 그리스도가 신이냐 아니면 인간이냐는 논란입니다. 만일 예수님이 인간이며 동시에 하나님이라면 어떻게 양성이 한 몸에 있을 수가 있는지를 묻는 것입니다. 예수님의 본성에 대한 논란은 성경에서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디모데전서 3:16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성경은 예수님의 본성을 신성과 인성을 지니신 분이라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하나님이신 예수님이 사람의 형상을 취해서 인성을 지니게 되었다는 말입니다. 예수님은 성삼위 하나님의 제2위이심으로 세상이 창조되기 전부터 선재(先在, preexist)하는 하나님으로서 신성을 갖고 계실 뿐만 아니라 인간의 몸을 갖고 이 세상에 오셨습니다. 이것을 성육신(incarnation)이라고 합니다.

갈라디아서 4:4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예수님의 신성

예수님은 하나님이십니다. 이 문제로 인하여 오랫동안 신학적 논쟁과 동시에 이단의 출현이 빈번했음을 교회사에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는 예수님의 신성을 성서를 통해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1) 선재성

요한복음 1:15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요한복음 8:58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요한복음 17:5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신약성서에서 하나님으로 호칭

요한복음 20:28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디도서 2:13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하나님을 계시

마태복음 11:27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요한복음 1:18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요한복음 14:9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신적인 권한을 행사

① 죄를 사하는 권능(마태복음 9:6)

② 모든 권세를 가지심(마태복음 28:18)

③ 영생을 주시는 분(요한복음 3:36)

④ 길과 진리와 생명이 되시는 분(요한복음 14:6)

⑤ 공경을 받으시는 분(요한복음 5:23

⑥ 구원을 주시는 분(로마서 10:9)

⑦ 예배와 경배의 대상(히브리서 1:6; 빌립보서 2:10-12; 요한계시록 5:12)

5) 행동으로 보여준 하나님의 사역

① 창조(요한복음 1:3; 골로새서 1:16; 히브리서 1:10)

② 만물을 보존하심(히브리서 1:3; 골로새서 1:17)

③ 죽은 자를 부활시키심(요한복음 5:28-29)

④ 세상을 심판하는 권한(마태복음 25:31-46; 요한복음 5:22, 27)

6) 하나님으로서의 속성

① 영원성(요한복음 17:5, 24; 히브리서 1:11-12; 요한1서 1:1)

② 전지성(요한복음 16:30, 21:17)

③ 전능성(마태복음 28:18; 요한복음 5:19; 요한계시록 1:8)

④ 불변성(히브리서 1:12, 13:8)

4. 예수님의 인성

성경은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요한복음 1:14)라고 선언함으로 예수님이 인간의 몸으로 세상에 오셨음(성육신)을 선언했습니다. 예수님의 성육신은 단지 인간의 몸을 취했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예수님은 비록 성령으로 잉태되어 세상에 오셨지만, 죄를 제외하고는 일반 사람들과 같은 성장 과정을 경험했습니다. 예수님이 인간의 몸으로 이 세상에 오셨다는 사실을 부인하는 가현론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물질은 본질적으로 악하기 때문에 하나님이 인간의 몸으로 이 세상에 올 수 없다고 반박합니다. 그러나 성경은 예수님이 인간으로 오셨다는 증거로 가득 차 있습니다.

1) 예수님의 인성의 증거

① 자신을 사람이라고 불렀고, 사람들도 예수님을 사람이라고 부르심(요한복음 8:40; 로마서 5:15; 디모데전서2:5)

② 몸과 마음과 영혼을 지니심(마태복음 26:12, 38; 27:50; 마가복음 8:12; 누가복음 23:46; 요한복음 8:6, 8; 11:33; 19:30, 34)

③ 인간의 본능을 보여주심(마태복음 4:2, 8:24, 마가복음 3:5; 요한복음 4:6)

④ 육체와 정신 양면으로 인간적 성장을 거치심(누가복음 2:40, 52; 히브리서 5:8)

⑤ 죽어서 매장 되심(마태복음 27:57-60; 마가복음 15:37; 요한복음 19:30)

2) 예수님의 인성의 독특성

예수님은 인성(manhood)을 소유하고 있는 완전한 인간이시면서 또한 불완전한 인간의 모습을 뛰어 넘는 완전한 이상적인 인성을 갖고 있습니다. 예수님의 특유한 인성에 대한 표현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① 초자연적 잉태(동정녀의 탄생, 누가복음 1:35)

② 죄가 없으심(고린도후서 5:21, 히브리서 4:15, 7:26, 베드로전서 3:18)

③ 도덕적 이상(베드로전서 2:21)

예수님의 독특성 가운데 죄와 관련되어 단순히 무죄라고 할 때 이 용어는 그 의미가 소극적으로 보입니다. 예수님이 우리의 삶에 모델이 되신다는 의미에서 적극적인 의미의 표현이 요구 되는데, 그것은 곧 도덕적으로 이상적인 모습으로 제시가 되는 것입니다.

5. 그리스도는 분명히 신성과 인성을 겸하신 분

한 몸에 인성과 신성을 겸한 이 사실을 완전하게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유는 우리 인간의 제한된 인식으로는 완벽하게 이해할 수 없는 인간의 지적 영역 밖의 일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성경이 그렇게 가르치기 때문에 그대로 믿는 것뿐입니다.

성경 적인 가르침은 무엇인가요? 예수님이 신성과 인성을 동시에 가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예수님이 인간이기 때문에 우리의 죄를 대신 짊어지고 희생제물이 되는 대속물로써 고난을 받고 십자가에서 죽으셔야 하지만, 예수님은 죄가 없는 분이시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의 죄를 짊어질 수 있는 것입니다. 예수님이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그분의 희생이 무한한 가치가 있으며, 하나님의 진노를 참으시고 다른 사람을 하나님의 진노로부터 구원할 수 있으십니다.

빌립보서 2:6-11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6. 예수님의 세 가지 직분

구약에서 기름부음을 받는 직분은 왕, 선지자, 제사장이라고 했습니다. 예수님도 사역을 시작하시면서 세례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십니다.

마태복음 3:16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세례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실 때 성령이 예수님의 머리 위에 임하는 데, 이 세례가 구약에서 특별한 직분을 수행하도록 임무를 부여하는 기름부음입니다. 그래서 복음서를 살펴보게 되면 예수님의 공생애 기간 동안 구약에서 기름부음으로 세웠던 세 가지 직분을 수행하셨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예수님이 수행하신 세 가지 직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왕으로서의 사역

예수님의 왕권은 자기 백성을 향한 통치권이며, 예수님의 왕권이 미치는 곳을 하나님의 나라라고 합니다.

요한복음 18:37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마태복음28:18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선지자로서 사역

예언자로서의 예수님은 하나님의 뜻의 계시자이며, 하나님의 진리의 해석자로 활동하는 모습입니다.

마태복음 4:17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요한복음 17:26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제사장으로서 사역

제사장으로서의 예수님의 사역은 하나님과 대적한 인간을 다시 하나님께로 화해시키는

중보적 사역의 역할을 말하는 것입니다.

히브리서 6:20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히브리서 7:23-28

 

 정리 문제. 

1. 예수님의 명칭 5가지는 무엇인가요?

2. ‘예수’라는 이름의 뜻은 무엇인가요?

3. ‘그리스도’란 명칭의 뜻은 무엇인가요?

4. 구약시대에 3가지 직책을 맡길 때는 머리에 기름을 붓는 의식을 가졌습니다. 그 3가지 직책은 무엇인가요?

5. 예수님을 주님이라고 부를 때 그 이름 안에 포함된 의미는 무엇인가요?

6. 예수님의 본성 두 가지는 무엇인가요?

7. 예수님의 신성 가운데 행동으로 보여주신 하나님의 사역은 무엇인가요?

8. 예수님이 인성과 신성을 겸해야만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