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건한 삶을 위한 기도생활(1)
◉ 도입
우리가 기독교인이 되어 영문에 출석을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해야 하는 몇가지 일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 하나가 기도입니다.
이번 과에서 공부할 기도에 대한 내용을 잘 공부하여 실제로 생활에 적용시켜서 좋은 결실을 얻게 되기를 바랍니다.
◉ 질문
1. 기도를 해 본 적이 있나요?
2. 기도에 대한 인식이 기독교인이 된 이전과 이후에 달라졌나요?
3. 기도를 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요?
◉ 전개
1. 기도란 무엇인가?
하나님의 자녀들은 성경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하시는 말씀을 듣고 기도를 통하여 우리 사정을 하나님께 말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기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1) 기도는 하나님과 나누는 대화이며 교제입니다.
어거스틴은‘기도는 하나님과 우리가 갖는 대화’라고 말했습니다. 기도는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교제이며, 하나님의 자녀만이 갖는 특권입니다. 그리고 성경과 더불어 그리스도인들에게 주어진 가장 커다란 무기이며, 기도를 통해서 성령님과 교통하는 생활을 실제적으로 체험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성경에서 하나님과 직접적으로 기도한 대표적인 사람은 아브라함입니다. 아래 성경구절을 통해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창세가 18:22-33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기도는 영혼의 호흡입니다.
우리 육체가 산소를 공급받고 탄산가스를 내 품어야 생존할 수 있는 것처럼 영혼도 기도를 통하여 새로운 힘을 공급받아 살아갈 수 있습니다.
데살로니가전서 5:17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사무엘상 12:23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기도는 하나님을 향한 나의 소원을 말하는 통로입니다.
우리는 각자 하고자 하는 일, 하고 싶은 일이 있습니다. 기독교인이 되기 전에는 이런 일들을 이루기 위해 각자의 방법으로 최선을 다하거나 도움이 될 만한 사람을 찾았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하나님을 믿은 이후로 우리의 원하는 일들을 이루기 위해 찾는 통로가 생겼습니다. 그 통로가 기도입니다. 기도를 통해서 우리가 원하는 일들을 이뤄달라고 하나님께 말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시편 21:2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시편 145:19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마태복음 21:22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기도는 하나님의 뜻을 아는 길입니다.
군우들의 가장 큰 기쁨은 하나님의 뜻을 알고, 그 뜻대로 살아가는 것입니다. 문제는 우리가 어떻게 하나님의 뜻을 알 수 있는 방법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뜻을 알고자 할 때 가장 적절한 방법이 바로 기도입니다. 하나님의 독생자이신 예수님도 하나님의 뜻을 알기 위해 기도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도 하나님의 뜻을 알고자 한다면 기도하면 됩니다.
마가복음 14:36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기도는 시험을 이기는 힘이 됩니다.
우리가 기독교인이 된 이후로는 전에 겪어보지 않은 시험을 겪을 수 있습니다. 왜냐면 전에는 문제가 안 되던 일들이 문제가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시험을 홀로 이겨나가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때 기도를 통해서 시험을 이기는 힘을 공급받게 됩니다.
마가복음 14:38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누가복음 18:1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누가복음 22:40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기도는 왜 해야 하나?
1) 주님께서 우리에게 기도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쉬지말고 기도하라”(살전 5:17)
항상 기도하고 낙망하지 말아야 할 것”(눅 18:1)
주님이 기도하라고 하셨으니 우리는 기도를 하되 쉬지 말고 낙망하지 말고 기도해야 한다.
2) 기도함으로써 새 힘을 얻는다.
“오직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는 새 힘을 얻으리니 독수리의 날개치며 올라감 같을 것이요 달음질 하여도 곤비치 아니하겠고 걸어가도 피곤치 아니 하리라”(사 40:31).
‘앙망’한다는 것은 ‘기다린다’ 또는 ‘바라본다’는 뜻이다. 기도를 통하여 주님을 믿음의 눈으로 바라 볼 때 새로운 힘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영적으로 피곤한가? 그러면 지금 멈추고 잠깐 엎드려 주님께 기도함으로 새 힘을 얻을 수 있다.
3. 어떻게 기도해야 되나?
1) 우리는 아버지께 기도한다.
기도를 드리는 대상은 하나님 아버지라는 것입니다. 요한복음 16장 23-24절을 보면 ‘아버지께’구하라고 말씀하신 것을 볼 수 있고, 마태복음 6장 9절을 보아도 누구에게 구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내이름(예수님)으로”기도하라고 하셨는데, 이는 기도 마지막에 “예수님의 공로와 그분의 뜻을 의지하라”는 의미로서 주님의 이름으로 기도하라고 하신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조심할 것은 공식적으로 예수님의 이름만 붙이고 이 말의 진정한 의미를 잊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우리가 예수님의 공로가 아니면 절대로 거룩하신 아버지 앞에 기도로 나아갈 수 없다. 오직 그 분의 긍휼하심에 의해 죄 사함을 얻고, 자녀의 자격을 얻었기 때문에 하나님 앞에 나갈 수 있음을 깊이 명심해야 한다. 그러므로 예수님의 이름을 기도 마지막에서 부를 때마다 우리는 이러한 은혜를 기억해야만 한다. 그리고 끝에 붙이는 ‘아멘’은 “우리의 기도가 주님의 뜻대로 이루어 질 것을 믿습니다”라는 의미이다.
2) 기도에는 먼저 감사와 찬양이 있어야 한다.
우리가 구원 받은 사실을 생각할 때 주님께 감사와 찬양이 나오지 않을 수가 없다.
3) 기도에는 죄에 대한 고백이 있어야 한다.
고백할 죄를 갖지 않고 기도할 수 있다면 얼마나 기쁜 일이겠는가? 그러나 우리의 현실은 그렇지 못할 때가 많다. 우리 속에 스며든 죄를 먼저 고백해야 한다(시66:18; 막 11:24-26).
4) 기도에는 구체적으로 구하는 것이 있어야 한다.
우리는 기도할 때 큰 것뿐만 아니라 작은 것을 위하여서도 기도해야 한다. 영적인 것과 육신적(일상생활에 필요한 것)인 것을 위해서도 기도해야 한다. 주님께서는 우리 전 인격을 사랑하시며 관심을 갖고 계시기 때문이다(고후1:11; 약5:16; 딤전1:1,2; 엡6:18-20; 빌4:6; 눅11:13참조).
5) 기도는 성경 내용을 갖고 하는 것이 좋다.
기도는 대개 성경을 읽은 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특히 개인 경건의 시간을 가질 때). 우리가 성경에서 읽은 사실에 대하여 주님께 물어보고 또 우리가 깨닫게 해 주실 때까지 조용히 엎드려 기다리기도 하며, 어떤 약속을 주셨을 때에는 그것을 감사하고 묵상한 후 주님께 다시 아뢰며 재확인하는 것이 유익하다.
4. 응답 받는 기도를 하려면?
1) 하나님의 뜻대로 기도해야 한다(요일5:14,15).
응답받는 기도를 하기 위하여 하나님의 뜻을 알 필요가 있을 뿐 아니라, 그 뜻을 순종하려는 자세로 기도하여야 한다.
2) 믿음으로 기도해야 한다(히11:6).
“오직 믿음으로 구하고 조금도 의심하지 말라”(약1:6).
“우리 가운데 역사하시는 능력대로 우리의 온갖 구하는 것이나 생각하는 것에 더 넘치도록능히 하실 이에게”(엡 3:20)
믿음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주님께서 응답하실 것을 믿고 기대해야 한다.
3) 성령님 안에서 기도해야 한다(엡6:18; 유다서 20).
우리 스스로 무엇을 구해야 할지 모를 때가 있다. 그러나 성령님을 의지할 때는 성령님께서 우리가 기도하는 것을 도와주신다.
“이와같이 성령도 우리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가 마땅히 빌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롬8:26).
4) 전심을 다해 기도해야 한다.
전심으로 기도한다는 말은 온전하고 참되고 지속적인 기도를 하라는 뜻이다. 주님께서도 이렇게 기도하셨다. 특히 십자가에서 돌아가시기 전 겟세마네 동산에서 기도하실 때에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싸움을 하신 것을 볼 수 있다.
“예수께서 힘쓰고 애써 더욱 간절히 기도하시니 땀이 땅에 떨어지는 피방울 같이 되더라”(눅22:44).
우리에게도 이와 같은 싸움이 있을 수 있다. 그런 때에는 도중에 끝내지 말고 응답을 받을 때까지 혹은 이길 때까지 계속 기도하라. 예수님도 세 번씩이나 똑같은 것을 놓고 기도하셨다(마26:44). 그래서 우리도 기도하고 싶은 때나 기도하고 싶지 않은 때나 지속적으로 기도해야 한다.
5) 외적으로 과시하지 말고 기도해야 한다(마 6:5, 6 참조)
참된 기도는 외적인 과시가 아니라 하나님께 구하는 것이다. 자아를 높이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다.
5. 왜 기도 응답을 받지 못할까?
우리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기도의 응답은 “Yes” “No” 혹은 “Wait”세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기도의 결과가 셋 중에 어떤 것이든 응답을 받은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기도할 때 하나님께서 전혀 응답하시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은 아마도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일 것이다.
1) 우리 속에 고백하지 않은 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내가 내 마음에 죄악을 품으면 주께서 듣지 아니 하시리라” (시 66:18)
2) 말씀에 어긋나는 것을 구했기 때문이다.
“사람이 귀를 돌이키고 율법을 듣지 아니하면 그의 기도도 가증하니라”(잠 28:9)
3) 하나님의 뜻에서 벗어난 동기로 기도했기 때문이다.
“구하여도 받지 못함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함이니라”(약 4:3)
4) 용서하지 않은 마음을 갖고 구했기 때문이다.
“서서 기도할 때 아무에게나 혐의가 있거든 용서하라”(막 22:25)
5) 중언부언하는 기도를 했기 때문이다.
“또 기도할 때에 이방인과 같이 중언부언하지 말라 저희는 말을 많이 하여야 들으실 줄 생각하느니라”(마 6:7)
6) 부부간에 불화가 있기 때문이다.
“남편 된 자들아 이와 같이 지식을 따라 너희 아내와 동거하고 저는 더 연약한 그릇이요 또 생명의 은혜를 유업으로 함께 받을 자로 알아 귀히 여기라 이는 너희 기도가 막히지 아니하게 하려 함이라”(벧전 3:7).
7) 하나님께서 응답하실 것을 의심하거나, 기대하지 않기 때문이다.
“오직 믿음으로 구하고 조금도 의심하지 말라 의심하는 자는 마치 바람에 밀려 요동하는 바다 물결과 같으니 이런 사람은 무엇이든지 주께 얻기를 생각하지 말라 두 마음을 품어 모든 일에 정함이 없는 자로다” (약 1:6-8)
이런 기도생활을 통해 풍성하고 은혜가 충만한 생활이 되기를 소망한다.
◉ 적용 문제
1. 기도는 군우가 누구와 대화하는 것인가?
⇒
2. 우리가 기도해야 할 두 가지 이유는?
⇒
3. 우리가 드리는 기도는 누구에게 하는가?
⇒
4. 기도할 때 마지막에 하는 아멘의 의미는 무엇인가?
⇒
5. 응답받는 기도를 위해 맨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
6. 응답받는 기도에서 우리가 기도하는 목적은 누구의 영광을 위해서 인가?
⇒
7. 기도 응답의 세 가지 형태는 무엇인가?
⇒
8. 우리 기도가 응답받지 못하는 이유를 몇 가지만 지적해 보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