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구세군 포천영문
□ 개척연도 : 1986년 12월 6일
□ 영문 개요
- 포천영문이 위치한 어룡동 인근에는 공장 및 식당이 밀집해있으며, 빌라 또한 인근에 위치해있다. 가구공장과 음식점들이 대부분이며 영문 인근에 경로당도 있어서 어르신들의 이동이 잦은 곳이다. 포천영문은 1986년 12월 6일에 개영하여 현재까지 32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포천영문은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교회로써 존립하기를 원해왔다. 오래전부터 포천독서실을 개원하여 지역주민들이 자유롭게 책을 읽으며 공부할 공간을 제공하였고, 주변의 수재민들이나 어려운 이웃들에게 쌀과 생필품을 지원하며, 장학금 사업을 통하여 언제나 지역주민들과 함께하는 시간을 가져왔다. 이 경험이 장점으로 작용하여 언제든 지역사회가 필요로 하면 어떠한 방법으로는 도움을 줄 수 있는 교회로써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외부에 손길을 베풀기는 하였으나 내실을 다지는데에는 소홀히 한 듯 하다. 구세군 포천교회의 이름을 걸고 선행을 베풀었으나 지역주민들이 포천교회가 어디있는지 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으며 심지어는 영문 앞을 지나면서도 마찬가지의 반응이다. 그 이유로는 홍보의 문제가 있을 것이다. 영문간판이 설치되어있지않아 지역주민들로부터의 의식이 현저히 낮다. 뿐만 아니라 선행을 베푸는 일 또한 영문에 인근한 지역주민들보다는 영문과는 거리가 멀리 떨어진 사람들에게 혜택을 제공하다보니 정작 영문자체에는 홍보로써의 효과가 적게 나타난 듯 하다. 그러나 누군가를 위하여 선행을 베푼 일은 반드시 기억될 것이며 다시금 그 힘을 발휘하여 영문을 세워가고 부흥을 이끌어올 충분한 잠재력이 있는 영문이다. 작지만 강한 교회로써, 행함이 있는 교회로써 지역주민들과 함께 주님의 교회를 세워가려 한다.
□ 개척 동기 및 변천과정
- 포천영문은 1986년 12월 6일, 신읍리 33-48위치에 2층 건물을 계약하며 정식 예배를 시작하였다. 이후 1988년 8월7일 영문과 주택을 신읍리 33-34로 이전하였고, 1991년 6월 2일에는 포천회관을 신읍리 71-2로 이전하였다. 이후 1991년 11월 17일에 영문건축위원회를 조직하여 1993년 3월 15일에 현재의 위치에 있는 어룡동 190-2 주소에 대지 100평을 마련하여 포천영문 신축공사를 시작하였고, 1994년 1월 20일에 헌당예배를 드리면서 현재까지 총 32년의 역사중 약 24년을 최근의 위치에서 예배를 드리고 있다. 이후 1994년 11월 6일에 포천독서실을 개원하여 지역주민들에게 책을 읽으며 공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였다.
건물의 뼈대가 샌드위치판넬로 공사가 되어있어 이후 지붕이 자연재해로 인하여 피해를 입어 공사를 하였고 방수공사, 보일러공사, 소방법 개정에 따른 예배실 앞 벽면 및 강단공사, 영문 현관 공사, 페인트공사 등 계속해서 부분적으로 수리를 해오고 있다. 그러던 중 최근 2016년 8월 31일에는 제일영문과 지방영의 큰 도움으로 건물 지붕과 외벽을 리모델링하여 이전보다 훨씬 튼튼한 구조로써 지금까지 지내오고 있다.
총 11명의 담임사관 동부인이 거쳐갔으며 현재는 이성호, 최경미 담임사관 동부인이 12대 담임사관으로써 부임중에 있다. 대부분의 연혁들이 건물 내,외부의 수리 등으로 이루어진 점을 볼수 있으나 이제는 공간은 잘 마련이 되어있으니 예배당이 한 영혼 한 영혼으로 채워질 수 있는 교회로써 자리잡을 수 있도록 영혼구원에 힘써야 하리라 생각된다.
□ 영문의 외부현황
1) 지역사회 분석
➀ 인구분포
* 통계청 자료
2015~2017년 포천시 인구분포도 |
||||
년도 |
총인구 |
남자 |
여자 |
외국인 |
2015년 |
163,388명 |
88,047명 |
75,341명 |
16,182명 |
2016년 |
162,698명 |
87,938명 |
74,760명 |
16,525명 |
2017년 |
161,239명 |
87,185명 |
74,054명 |
16,146명 |
➁ 주민 소득수준
* 통계청 자료
2015~2016년 경기도민 소득수준 (통계청 자료상 포천시까지 세분화되지 않아 경기도로 제한함) |
||||
년도 |
1인당 지역내총생산 |
1인당 지역/총소득 |
1인당 개인소득 |
1인당 민간소비 |
2015년 |
28,403,000원 |
30,665,000원 |
17,130,000원 |
14,938,000원 |
2016년 |
29,602.000원 |
31,644,000원 |
17,752,000원 |
15,347,000원 |
➂ 종교시설 분포
* 포천시청 자료
2015년 포천시 종교별 인구분포 |
2015년 포천시 종교시설 분포도 |
||
개신교(기독교) |
24,545명 |
개신교(기독교) |
162개 |
개신교(천주교) |
6,730명 |
개신교(천주교) |
10개 |
불교 |
23,234명 |
불교(법당) |
75개 |
원불교 |
111명 |
인도 시크교 |
1개 |
유교 |
579명 |
대순진리회 |
3개 |
천도교 |
182명 |
통일교회 |
1개 |
대순진리회 |
276명 |
원불교 |
1개 |
기타 |
207명 |
|
|
종교없음 |
88,574명 |
||
합계 |
144,438명 |
➃ 교회 분포
- 포천시내와 송우리 시내에 대부분의 교회가 밀집하여 있고, 현재 포천영문이 위치해있는 어룡동에는 2개의 교회만이 위치하고 있으나 그 중 하나는 이단교회이다.
➄ 지역 특성
- 포천영문이 위치한 어룡동 지역은 2003년에 포천동으로 구획되었다.
상업지역으로써 영문 인근에는 공장 및 식당이 밀집해 있으며, 빌라 또한 인근에 자리하고 있다. 지역 어르신들의 공간인 경로당이 영문 인근 도보 5분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차로 15분 거리내에 3개의 어린이집, 2~3개의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위치해있다. 인구가 밀집해있는 포천시내와의 거리는 차로 5분 거리이며, 송우리 시내까지는 차로 15분 거리에 위치해있다.
➅ 지역 발전 추이
- 지리상 한반도의 중심지로써 향후 남북 협력사업과 주요행사 유치 등 교류를 통해 역사적 거점도시의 역할을 기대해볼 수 있다.
2017년 구리-포천 민자고속도로가 개통됨으로 인하여 서울에서 1시간 10분 이내의 근거리 도시이며, 2020년에는 포천선(의정부-포천)철도 건설 및 수도권 제2외곽 순환고속도로(남양주-포천)을 계획중에 있어 교통편의 발전도 눈여겨 볼 만하다.
자연자원과 인적자원이 풍부한 무한가능의 도시로써 4개 산업단지가 완료되면 낙후되어 있던 지역경제가 크게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2) 영문과 지역사회의 관계
➀ 영문에 대한 지역사회의 의식수준
포천영문의 32년 역사 중 약 25년을 현재의 지역인 어룡동에 위치해있으나 지역사회에서 영문(교회)으로써의 의식이 다소 약한 듯이 보인다. 그 요인으로는 첫째로, 영문건물구조상의 문제가 있다. 영문건물 외벽에 영문을 알릴만한 영문간판이나 안내 역할을 하는 구조물 등이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영문앞을 지나가는 사람들도 이곳이 무엇을 하는 곳인지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또한 1층의 작은도서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홍보의 부족으로 인하여 장소는 마련되어 있으나 지역주민 한사람도 방문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 있다.
➁ 영문과 지역사회의 유대관계
자선냄비 배분사업을 통한 몇 년간의 지속적인 사업으로 인하여 지역사회와의 유대관계를 기대해볼만도 하겠으나 배분사업의 대상자 선정에 대한 아쉬움이 남는다. 물론 인근 경로당 어르신들에게 식사대접하는 것은 좋았으나 이후 보일러 교체 및 장판교체, 장학금 지원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는 대상자 선정에 있어서 다른 지역보다 영문 인근에 있는 지역주민들에게 그 혜택이 더 돌아갈 수 있도록 했으면 지역사회와의 인식 및 관계가 보다 좋아지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➂ 영문과 지역사회 기관들과의 관계
새롭게 개척해야 하는 상황인 듯 하다.
자선냄비 배분사업을 진행하면서 시청 및 동사무소와 좀 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해야 할 듯 하며, 인근에 위치해있는 경로당 어르신들과도 지속적인 교류가 필요할 듯 하다. 어룡동 통장을 통해서 지역사회 기관사람들과 인사를 나눌 수 있을 듯 하며, 영문에 행사가 있을 시 인원동원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자선냄비 배분사업을 통하여 인근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연계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것도 좋을 듯 하다.
□ 영문진단
1. 영문 성장의 지지 요인
1) 미자립임에도 불구하고 수적대비 하사관 6명 출석.
2) 자가 건물임과 동시에 1층 작은도서관 공간의 활용도가 높음.
3) 군우들의 나이가 비교적 젊음으로 인하여 일꾼으로서의 활용도가 높음.
2. 영문 성장 추이 및 성장 잠재력 진단(SWOT)
1) 강점(Strong)
➀ 자가건물로써 사역을 함에 있어서 자유로움.
➁ 지역사회의 거점이 될 수 있는 자리에 위치함.
➂ 병사 수 대비하여 하사관의 수가 많음으로 인한 일꾼확보.
➃ 작은 교회 규모임에도 불구하고 1층 작은도서관의 공간이 확보되어 사역의 범위를 다양하게 선정할 수 있음.
2) 기회요인(Opportunities)
➀ 그 동안 제대로 영문홍보가 제대로 되지 못하였기에, 홍보에 신경을 쓰게 되면 오히려 극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➁ 포천시에 구세군에서 떠난 잃어버린 양들이 더러 있다.
➂ 다문화 인구도 주변에 밀집해있어 사역의 확장성을 고려해볼 수 있다.
➃ 1층 작은도서관의 공간을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공간으로 재조정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을 교회로 인도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영문의 비전
- 정성적 비전
① 창립자의 정신을 이어받아 ‘마음은 하나님께 손길은 이웃에게’라는 슬로건을 성도들에게 일깨워준다. 그리하여 영혼구원을 최우선에 두어 아직도 포천영문 지역사회의 예수님을 모르는 사람들에게 주님의 사랑을 알게 하고, 또한 기존에 영문에 출석했다가 나오지 않고있는 잃어버린 양들을 찾아나서는데에 전군우가 동참하는 마음을 함께 품도록 한다.
② 청소년 부서의 부흥이 필요하기에 다음세대를 위하여서라도 전군우가 자신의 자녀들부터 교회에 정착시킬 수 있는 분위기를 형성하고자 한다.
③ 군우들의 건강한 믿음생활과 성결한 삶을 위하여서 성경공부나 제자훈련과 같은 양육반을 운영하여 군우들을 제자화 시키고 평신도 사역자로 세운다.
④ 지역사회의 소외되고 어려운 이웃들을 섬기기 위하여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를 생활화함으로써 예수 그리스도의 정신을 실천하고 보존한다.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장기계획
-10년 후 비전
① 포천시에서 가장 인지도 있는 영문으로써 자리 잡는다.
② 현재 포천영문이 위치해있는 어룡동 주민들 모두가 포천영문을 알수 있도록 한다.
③ 1층 공간이 지역주민들의 문화센터로써 자리잡는다.
④ 실무정교를 세움으로써 영문의 운영을 보다 진취적이고 계획적으로 운영한다.
⑤ 매년 50%의 수적인 성장을 목표로 한다면 10년 뒤에는 예배당의 자리가 부족할 것이다. 이로 인하여 1층의 공간을 예배의 공간으로 확장시킨다(영상미디어 설치).
⑥ 다문화그룹을 포용하여 그들 또한 우리예배의 일원이 될 수 있도록 다국어 예배를 위한 영어통역서비스를 제공한다.
- 20년 후 비전
① 매년 50%의 수적인 성장으로 인하여 영문부지의 확장 및 리모델링을 필요로 할 것이다.
② 영문부지의 확장 시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공간을 좀 더 세부적으로 계획하여 주민들의 공간이 사라지지 않도록 한다.
③ 구세군의 특성 상 인사이동이 잦음으로 인하여 장기발전 계획은 10년까지를 계획하고 진행정도에 따라 향후 20년의 계획을 재수립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