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구세군영월영문
□ 개척연도 : 2004년 9월 2일
□ 영문 개요
영월영문은 영월읍 외곽지역인 오무개길 14-1번길에 위치해 있으며 정문앞엔 영월고등학교, 영월공업고등학교, 영월중학교, 후면엔 내성초등학교가 위치하고 있다.
학군에 위치하고 있는터라 학생들의 이동이 잦으며 2015년 7월에 교회를 건축하여 쾌적한 환경과 지역 분위기에 어울리는 영문전경으로 지역내에 신선한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개영한 지 15년이채 되지않은 역사가 짧은 영문이지만 구세군의 신앙적 전통을 이어받아 젊은 교회로 성장하고있는 영문이다.
대부분의 영문 구성원이 30~50대로 이루어져있으며 성도들 대부분이 구세군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있으며 영월에 위치한 그 어떤 타교단 교회와 견주어도 그 신앙의 가치와 자긍심만큼은 뒤지지않을 정도의 열정을 가진 영문이다.
현재 사회복지시설인 지역아동센터와 복합사역을 하고있으며 이를 통한 복음사역으로 주일학교가 매우 활성화되어있으며 학생회 또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아쉬운점은 10여년전 이미 영월이 초고령화사회로 진입한 시골이고 젊은이들이 대도시로 이주하는 상황인지라 점차 인구가 줄어들고있으며 대부분의 지역 주민이 고령이라는점이 향후 교회 성장의 큰 어려움으로 다가올수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 개척 동기 및 변천과정
영월영문은 영월군 김삿갓면에 위치한 영월복지관의 설립으로 인해 개척이 시작된 영문이다.
초대사관인 신진균, 임향 사관의 수고와 헌신으로 복지관이 생기고 이후 영문이 임대건물에서 개영되었으며 상가 3층에 위치하다보니 이렇다할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기 어려웠다.
또한 2004년에 개영하고 2009년 현 담임사관 동부인이 부임하기전 무려 4번이나 사관이 바뀌었다는 것은 영문이 성장하기에 부정적 영향으로 작용하기에 충분했다.
그럼에도 하나님은 영월영문을 사랑하셨고, 영월영문이 복음사명을 감당하기 원하셨기에 한사람, 한사람 믿음의 사람들을 붙여주셨고, 냉랭하고 차갑고 이성적인 영문의 영적인 견고한 진은 하나둘 무너지기 시작했다.
개척후 9년만(2013년)에 자립선언을 하게하셨으며 이후 2년만에 영월읍 오무개길 14-1에 대지100평, 총면적 140평의 건축을 허락하셨다.
2009년 11월 부임했을당시 장년부 6명, 주일학교 10여명이었던 영문은 2018년 8월현재 장년부 40명, 주일학교 30명, 학생회 10명, 청년부 6명으로 성장하였으며 현재도 계속적으로 영문에 새로운 회개인들이 들어오고 상황이다.
□ 영문의 외부현황
1) 지역사회 분석
➀ 인구분포
2017년 기준 영월군 인구수 : 40,327명
영월읍 인구수 : 21,785명
➁ 주민 소득수준
주민 대부분이 농업으로 소득수준이 낮으며 그 외 공무원과 사회복지시설등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2017년 강원도 사회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군민의 42.4%만이 임금수준에 만
족하고있는 것으로 볼때에 소득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0만원 미만이 21.5%, 100만원 미만은 14%, 200만원 미만이 13.4%로 지역적으로 200만원 미만의 소득자가 50%에 달할만큼 소득 수준은 낮은편입니다.(2017년 강원도 사회조사보고서 관련)
➂ 종교시설 분포
단종의 유배지로 익숙한 영월은 단종이 토착종교화되어 각종 문화재 및 행사 에 단종을 숭배하는 정신이 강합니다.
또한 사찰은 41개, 천주교는 7개, 원불교 1개, 천부교 1개, 이단 4개로 분포 해있습니다.
전체인구중 18%(7,500여명)이 불교신자이며 15%(6,100여명)이 개신교, 4%가 천주교이며 그 외 종교가 0.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➃ 교회 분포
영월군 관내 교회는 160여개이며 이중 감리교회가 두 개지방(영월지방, 새영 월지방)으로 100여개, 그 외 장로교, 침례교, 순복음, 독립교단이 차지하고있 습니다.
영월읍내 대형교회라할만한(150명이상)교회는 3개(감리교2, 장로교1)이며 그 외에는 대부분 10~20명정도의 소형교회로 구성되어있습니다.
➄ 지역 특성
영문의 주변은 학교밀집지역이나 특별한 수입원이 되는 상업지역이나 인구밀 집지역과는 거리가 멀며 영월읍의 외곽에 영문이 위치하고있습니다.
영월읍의 지역적 특성은 시골에 위치하고있으나 지역민들의 교육적 관심이 높 은편입니다. 따라서 지역적으로 뚜렷한 특성이 나타나는 곳은 아닙니다.
➅ 지역 발전 추이
2016년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영월군은 향후 30년이 내 소멸위험지역으로 진입했으며 이 연구를 뒷받침이나 하듯 인구수는 지속적 으로 감소하여 2018년 6월 27일 40,000만명의 인구의 벽이 무너져 3만 9999 명(2018년 6월 25일 기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지역의 소득원 또한 공무원, 사회복지시설 근로자외에는 뚜렷한 주수입원인 산업시설이 없어서 젊은이들은 영월을 떠나거나 40~50대의 장년들이 자녀교 육문제로 인근 제천, 원주로 주거지를 이전하는 추세입니다.
이에 지역적 발전가능성은 희박하며 군수를 비롯한 지역사회는 지역주소지 갖 기운동을 펼치는등 지역의 쇠퇴를 막기위해 안간힘을 쓰고있습니다.
또한 영월관내 대부분의 교회들역시 이미 고령화로 접어들어서 교회들마다 노 령성도들이 급증한 상태에 놓여있습니다.
2) 영문과 지역사회의 관계
➀ 영문에 대한 지역사회의 의식수준
초기 영문사역시기엔 이단이라는 소문이 일부있었으나 지속적인 영월읍기독 교, 영월군기독교 연합회 활동과 임원활동을 통한 정통교단으로의 의식전환을 기했으며 매년 자선냄비 시종식과 사회봉사활동으로 긍정적이며 책임있는 교 회로 의식이 전환되었습니다.
➁ 영문과 지역사회의 유대관계
영문의 병설인 지역아동센터를 통하여 학교돌봄과 지역민들의 호응을 얻고있 으며 지속적인 시설투자와 개선을 통해 지역민들의 자녀들을 참여시키고자하 는 기대를 향상시키고있습니다.
이러한 시설의 긍정적 역할을 통해 복음, 전도사역에도 활동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사업을 온전히 시행하는 시설 및 영문으로 인식 을 전환시켜나가고 있습니다.
➂ 영문과 지역사회 기관들과의 관계
영문의 담임사관은 교경협의회(영월경찰서)와 교정선교회(영월교도소)에 임원 및 회원으로 참석하여 지속적인 기관들과 유대관계를 형성하고있으며 참석시 에 군복을 통한 간접적 선교사역을 진행하고있습니다.
이를 통하여 구세군에대한 인식을 개선하여 친숙하게 다가가는 교회로서의 역 할을 기대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있습니다.
□ 영문진단
1. 영문 성장의 지지 요인
1) 현 영문의 하사관 및 군우들의 구세군과 영문에 대한 자부심, 자긍심이 높아 지 역내에 영문을 자랑하고 복음을 전하는데 열심을 내고있다.
2) 영문의 주요 구성원의 연령대가 30~50대로 젊은층에 속하며 주요구성원의 자녀 들이 연령대가 어리므로 지속적인 영문의 일꾼으로 성장할 가능성을 품고 있다.
3) 부속시설인 지역아동센터 운영이 활발하여 아동과 아동의 학부모와의 접촉점이 마련되어있어서 전도에 용이하다.
2. 영문 성장 추이 및 성장 잠재력 진단(SWOT)
1) 강점(Strong)
➀ 군우들의 연령이 젊다.
➁ 주일학교와 학생회 예배가 드려지고있으며 운영이 활발하다.
➂ 부속시설인 지역아동센터의 운영이 원활하다.
➃ 예배, 전도, 교육, 봉사, 예물생활이 온전히 이루어지고 있다.
3) 기회요인(Opportunities)
➀ 군우들이 영적으로 순수하여 가르침대로 순종한다.
➁ 구세군에대한 자긍심이 있다.
➂ 계속적으로 회개인이 있다.
➃ 아동센터를 통한 불신자와의 만남이 이루어진다.
□영문의 비전
-. 정성적 비전
1. 복음으로 영혼을 구원하고 삶을 변화시키는 일에 전념한다.
2. 하나님의 사랑으로 사람을 섬기는 일에 최선을 다한다.
3. 복음을 가르치고 훈련함으로 구원받은 영혼을 제자로 양육한다.
4. 복음의 진리와 의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일에 최선을 다한다.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장기계획
-10년 후 비전
장년부 160명, 재정 250,000,000원의 영문으로 성장하고 사회복지시설의 운영을 분리하여 별도의 시설건물을 매입하여 독립적으로 운영한다.
-20년 후 비전
장년부 250명, 재정 350,000,000원의 영문으로 지속성장하며 장년부 250명이 동시 에 예배가능한 건물을 신축하고 지역사회 필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커뮤니티처치 로서의 기능을 마련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