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469

붉은 방패(Red Shield) 붉은 방패는 구세군의 사회봉사 사역의 상징으로 국제적으로 사용됩니다. 구세군의 상징 중 하나인 붉은 방패는 ‘구세군(The Salvation Army)’이라는 글자가 가로질러 장식 된 은으로 만든 방패모양의 장식이었습니다.이 방패 모양을 전쟁 중에 수비부대에서 근무하던 많은 구세군인들이 배지로 착용하였습니다. 보어전쟁(Boer War, 1899-1902)이 끝난 직 후, 호주 구세군 사관이었던 조지 카펜터(George Carpenter) 참령은 전쟁 중에 구세군인들이 착용한 은색방패가 야간에 빛을 반사하여 적들에게 군대의 위치를 노출시킬 위험이 있음을 걱정하였습니다. 그래서 은을 빨간 애나멜로대체하여 지금의 붉은 방패 모양을 갖게 되었습니다. 2019. 11. 13.
구세군기 세계적으로 구세군기는 죄악과 사회 악에 대해 구세군이 싸우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깃발의 붉은 색은 예수 그리스도의 피를, 파란색 테두리는 성결을 상징합니다. 그리고 중앙의 노란 별은 성령의 불을 의미합니다 구세군기는 결혼식, 장례식, 행진, 야외집회, 병사입대식, 송별식, 은퇴식 등의 특별한 행사에 사용됩니다. 첫 구세군기의 창안은 1878년, 창립자 윌리엄 부스의 부인 캐서린 부스에 의해 디자인 되었고, 영국 코벤트리(Coventry) 영문에 처음 수여되었습니다. 그 당시 깃발의 중앙엔 생명(life)의 빛을 의미하는 노란 태양이 있었고, 1882년에 별 모양으로 바뀌었습니다. 2019. 11. 13.
면류관(Crest) 구세군의 공식 로고인 면류관은 구세군의 기본 교리를 상징하며 영적 사역을 위해 사용됩니다. 중앙의 원형과 둘레의 화염은 태양으로서 성령의 빛과 불을 상징합니다. 중앙의 십자가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상징합니다. 십자가 위의 ‘S’는 죄로부터의 구원인 ‘Salvation’을 나타냅니다. 두 자루의 칼은 죄에 맞서 싸우는 구원의 전투를 나타냅니다. 파란 원 안에 위치한 일곱 개의 점은 탄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복음의 진리를 상징합니다. 왕관은 하나님께서 끝까지 충성하는 모든 이들에게 주시는 영광의 면류관을 나타냅니다. 글자 ‘BLOOD AND FIRE’는 모든 사람들을 구원하기 위해 흘린 그리스도의 보혈과 성도를 정결케 하는 성령의 불을 의미합니다. 2019. 11. 13.
한국구세군 2000년 ~ 현재 2000 구세군한국군국 새천년선교대회, 대장 존 가완스 인도 / 청소년문화축제 2003 구세군대한본영 신문로에서 정동 중앙회관으로 이전 2004 제 1회 n세대를 위한 파워캠프 2007 제 1회 어린이 파워캠프 2008 충정로 구세군빌딩 건축 / 구세군한국군국 선교100주년기념대회 / 몽골 울란바트라 개척선교 2010 구세군대한본영 충정로 구세군빌딩으로 이전, 몽골 개척 2012 캄보디아 개척 2013 자선냄비본부 출범 2015 구세군대한본영 정동으로 이전 2018 구세군한국군국 개전110주년기념 대장방문 2019 구세군대한본영 충정로 구세군빌딩으로 이전 2019. 11. 13.
한국구세군 1975년 ~ 1999년 1975 첫 간호사 친교회 개시(의료선교회) / 지방개편(경북지방, 경남지방) 1977 사회복지법인 구세군복지재단 설립인가(제 131호) 1978 구세군한국군국 개전 70주년 기념대회 1980 첫 영문악대 창설(천영영) / 전국 청년수련회 및 정기총회 1981 구세군대한본영 신문로 구세군빌딩으로 이전 1983 구세군 한국개전 제 75주년 기념총회 1985 사관학교 과천으로 이전 1987 구세군장학회 발족 1988 구세군 한국개전 80주년 기념대회 1989 구세군한국군국정교회 발족 1992 구세군대한본영기구개편(3국16부) / 충북지방, 서산지방 신설 / 충서지방 분리 1997 구세군연수원 4개권역별 개설 / 블라디보스톡 개척 1998 제 1회 군국음악캠프 1999 제 1회 성민수련회 / 구세군한국군국 선.. 2019. 11. 13.
한국구세군 1941년 ~ 1968년 1941 일본에 의해 구세단으로 명칭 변경(일본이 운영) 1943 구세군한국군국 강제폐쇄조치 1947 사업재개(구세군으로 환원됨) / 구세군 영동종합병원 의료사업 전개 1949 제 1회 청년캠프 1950 한국전쟁기간 및 전후 영국과 미국구세군의 도움으로 16개 무료 급식소 운영 1951 구세군대한본영 부산 이전 1954 제 1회 군가회의 1955 ‘구세군가’발행 / 구세군대한본영 정동 이전 1956 사회사업 중앙봉사회관 개관(신문로) 1958 구세군 한국개전 50주년 기념총회 1959 구세군중앙회관 개관 1968 충동지방 신설 2019. 1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