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세군 소개38

한국구세군 1975년 ~ 1999년 1975 첫 간호사 친교회 개시(의료선교회) / 지방개편(경북지방, 경남지방) 1977 사회복지법인 구세군복지재단 설립인가(제 131호) 1978 구세군한국군국 개전 70주년 기념대회 1980 첫 영문악대 창설(천영영) / 전국 청년수련회 및 정기총회 1981 구세군대한본영 신문로 구세군빌딩으로 이전 1983 구세군 한국개전 제 75주년 기념총회 1985 사관학교 과천으로 이전 1987 구세군장학회 발족 1988 구세군 한국개전 80주년 기념대회 1989 구세군한국군국정교회 발족 1992 구세군대한본영기구개편(3국16부) / 충북지방, 서산지방 신설 / 충서지방 분리 1997 구세군연수원 4개권역별 개설 / 블라디보스톡 개척 1998 제 1회 군국음악캠프 1999 제 1회 성민수련회 / 구세군한국군국 선.. 2019. 11. 13.
한국구세군 1941년 ~ 1968년 1941 일본에 의해 구세단으로 명칭 변경(일본이 운영) 1943 구세군한국군국 강제폐쇄조치 1947 사업재개(구세군으로 환원됨) / 구세군 영동종합병원 의료사업 전개 1949 제 1회 청년캠프 1950 한국전쟁기간 및 전후 영국과 미국구세군의 도움으로 16개 무료 급식소 운영 1951 구세군대한본영 부산 이전 1954 제 1회 군가회의 1955 ‘구세군가’발행 / 구세군대한본영 정동 이전 1956 사회사업 중앙봉사회관 개관(신문로) 1958 구세군 한국개전 50주년 기념총회 1959 구세군중앙회관 개관 1968 충동지방 신설 2019. 11. 13.
한국구세군 1908년 ~ 1938년 1908 구세군한국군국 시작(세계구세군 42번째 사역지) / 제 1영 서울제일영 개영 1909 최초 사관훈련반 교육 / 구세신문창간 / 조선 구세군 최초의 구세군회관 헌당식 / 전라지방, 대구지방, 충청지방 개설 1910 경성 성경대학교 개교 1912 성경대학을 구세군사관학교로 개칭 1914 영동지방 개설 1915 해주지방을 개성지방에서 분리 1916 구세군한국군국 제 1회 군국총회 / 경성지방 개설 1919 일본인 지방 개설 1922 고산지방, 원산지방, 영덕지방 개설 1924 구세군 유지재단법인 설립인가(제1호) 1928 한국 최초의 자선냄비운동 / 정동사관학교신축헌당 / 개성지방, 경성지방 합병 1938 구세군사관학생 제 28기 ‘열심적 건설학기’ 심사참배불참결의 사건 2019. 11. 13.
2001년 ~ 현재 2001 911 테러 긴급구호 지원 국제 신학 윤리 심포지움 개최 2004 인도양 쓰나미 긴급구호 2008 국제 사회 정의 사업 몽골 사역 시작 2011 24/7DAYS 국제 기도운동 시작 ‘One Army, One Mission, One Message’ 운동 시작 2012 캄보디아 사역 시작 2015 구세군 150주년 2018 모빌라이징 캠페인 진행중 2019. 11. 13.
1929년 ~ 1991년 1929 1차 최고회의 개최 제 3대 대장 에드워드 히긴스 선출 브람웰 부스 승천 1934 첫 여성 대장 ‘이반젤린 부스’ 선출 1943 구세군 의료친교회 사역 시작 1950 청소년 국제 대회 개최 1959 노인복지를 위한 ‘Over-60 Club’ 발족 1971 스페인, 포르투갈 사역 시작 1976 과테말라, 맥시코 사역 시작 1980 국제구세군 찬양대 발족 1984 국제 지도자 회의 개최 1986 ’Salvationist’ 발행 여성 대장 ‘이봐 보러스’ 선출 1990 동독(East Germany),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사역 시작 영국군국 설립 1991 국제본영과 영국군국본영을 분리 러시아 사역 재개 2019. 11. 13.
1891년 ~ 1914년 1891 공식적인 구세군사회복지사업 시작 1896 자선냄비 시작 1904 윌리엄 부스 대장의 자동차 순방 시작 1908 대한민국에서 구세군 사역 시작 1912 윌리엄 부스 대장 승천 제 2대 대장 브람웰 부스 1913 러시아 사역 시작 1914 1차 세계 대전 시 군인들 지원 사업 2019. 11. 13.